본문 바로가기
Chat GPT

챗 지피티, 어려운 글도 쉽게 요약해주는 서비스

by 책 속에 답이 있다 2023. 11. 13.
728x90
반응형

 

전문 분야의 글 쉽게 이해하기

한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글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무런 배경 지식 없이 글을 읽는다면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이해를 할 수가 없다. 익숙한 한글로 적혀있지만 무슨 말을 하는지 파악하기가 힘들다. 그러나 인공 지능을 사용한다면 글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받을 수 있다.  

 

먼저 Chat GPT 사이트에 들어가서 밑에 그림에서 보이는 곳에 명령어를 적는다. 그 명령어를 적으면 인공지능이 명령을 이해하고 수행한다. 오늘 함께 알아볼 명령어(prompt)는 다음과 같다.

 

 

글을 쉽게 요약하는 인공지능 명령어

명령어: Chatgpt !나는 이 글에 관심이 있고 이해하고 싶지만 내 전문 분야가 아니기에 이해를 할 수 없습니다. 당신은 이 분야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고 뛰어난 교사이며, 복잡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어떤 주제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제가 제공할 텍스트를 요약해서 11살 아이도 이애할 수 있게 설명해주세요. {{텍스트}}

 

위에와 같은 명령어를 작성하면 챗지피티가 글을 적으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면 내가 이해하기 힘든 전문 분야의 글이 있다면 인공지능에게 알려주면 된다. 나는 최근에 읽었던 뉴스 기사를 가져왔다. 천문학에 관련된 기사이기 때문에 글이 한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밑에 사진을 보면 끝까지 읽고 싶지 않는 글이 있다. 

 



위 글을 읽으면서 기사가 머리로는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데 전체적인 내용이 한번에 들어오지 않는다.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지 않는 상태라고 말할 수 없다. 그래서 인공지능에게 저 글을 작성했더니 밑에 글과 같이 요약해주었다.

 

인공지능 어려운 뉴스 기사도 쉽게 요약해준다

인공지능 대답: 한국천문 연구팀과 다른 나라 연구원들이 함께 일하면서, 우주에 있는 정말 큰 블랙홀인 M87에서 나오는 제트가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발견했어요. 제트는 블랙홀 주변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기체나 액체로, 블랙홀이 빠르게 돌면서 에너지를 내뿜는 거에요. 어린 제트를 보는 건 천문학에서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 23년 동안 여러 전파 망원경을 사용해서 M87 블랙홀을 관찰했어요. 이 데이터를 모아서 슈퍼컴퓨터로 분석했더니, 블랙홀이 돌면서 제트가 생기는 것을 알아냈어요. 이건 블랙홀 돌고 있다는 것 증명하는 큰 발견이에요.

 

연구팀은 블랙홀 주변의 회전축이 어긋나 있어서 제트가 11년 주기로 움직이는 것도 발견했어요. 이 발견은 한국이 이끄는 전파관측망과 데이터 처리 센터 덕분이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도 M87 블랙혹을 관찰하면서 새로운 것들을 찾을 거라고 해요.

 

 

결론: 상당히 요약이 쉽게 잘 되었다.  저 정도 글이라면 어린 학생들도 어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내 생각은 이런 기능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가령 논문을 꼼꼼히 읽기 귀찮을 때, 이 서비스를 통해서 빠르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