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누군가에게 열등감을 느낀 적이 있나요? 열등감이란 스스로가 다른 사람과 비교했을 때 느끼는 자신감의 부족이나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입니다. 때로는 열등감으로 스스로 부족하다고 믿으며 자신을 채찍질하기도 합니다.
열등감은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다
그러나 아들러는 열등감을 단순히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그는 열등감을 통해 사람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열등감은 인간이 우월함을 추구하면서 발전하려고 노력하는 본능적인 동기에서 나온다고 주장합니다. 그렇기에 저자는 열등감을 이용해 자신을 개선하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성공과 열등감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열등감을 극복을 통해 성공을 이루기도 합니다. 열등감은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강력한 동기가 될 수 있습니다. 책의 저자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는 이런 부분을 계속해서 강조합니다.
사회에서 열등감
현대 사회에서 20, 30대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열등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들은 학창 시절부터 대학과 직장이 삶의 안정을 찾지만, 더 나은 현실을 사는 사람을 보며 열등감을 느낍니다. 그리고 이러한 열등감은 자신에게 실망으로 이어지고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게 합니다.
아들러는 이러한 현대인에게 메시지를 던집니다. 그는 자신의 현재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타인과의 비교를 멈추며, 자신이 이룬 것에 집중할 것을 말합니다. 아들러는 열등감을 느낄 때 그것을 긍정적인 변화의 기회로 생각하고 자신만의 속도로 삶을 살아가는 용기를 가지라고 말합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는 기준은 개인마다 다릅니다. 아들러는 각자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자신의 모습이 다르기 때문에 성공과 실패의 기준도 다양하다고 봅니다. 그는 사람들이 자신의 부족한 면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는 타인과의 비교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아들러가 말하는 성공
결국, 성공과 실패의 판단은 개인에게 달려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외부의 잣대가 아니라 자신의 내면적인 가치와 목표에 기반한 판단입니다.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강점과 긍정적인 면에 집중함으로써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갖는 것입니다.
저자는 인간은 힘든 환경에서도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얘기합니다. 그렇기에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타인과 비교가 아니라 여러 문제들을 직면하는 용기, 다른 사람의 기대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용기, 그리고 평범해질 수 있는 용기라고 말하빈다.
'책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의언어] 마음 헤아리기가 관계를 바꾼다 (32) | 2024.02.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