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심리학

한민의 심리학의 쓸모 [책] 당신이 결정장애를 가진 이유

by 책 속에 답이 있다 2024. 2. 14.
728x90
반응형

 

 

 

결정장애란, 매일 마주치는 간단한 선택에서부터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중대한 결정까지,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이 무척 어렵게 느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점심에 뭐 먹지?", "주말에 뭐 할까?"와 같은 일상적인 결정부터, "어느 회사에 지원할까?", "이 사람과 만나도 될까?", "결혼은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와 같은 중요한 결정까지, 모든 결정을 힘들어 합니다.

 

결정 장애 원인 

결정장애를 가지게 된 배경은 부모의 양육 방식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가 중요한 결정을 대신 내려주신 경우, 그 자녀는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법을 배우지 못합니다.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도 중요한 결정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주변의 불확실한 현실은 무엇인가를 결정하기 힘들게 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 상황의 불안정과 변화하는 산업 구조는 앞으로 경제 미래를 더욱 예측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런 불확실한 현실은 미래에 대해 더 불안감을 느끼게 하고 결과적으로 무엇인가를 결정을 내리는 것을 더욱 힘들게 만듭니다.

 

결정 장애 극복하는 방법

1. 작은 것부터 바꿔야 한다.

결정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상에서부터 작은 결정을 스스로 내리는 연습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무엇을 입을지,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지 등의 작은 결정부터 시작해 보는 것입니다. 이런 연습을 통해 점차 큰 결정들도 스스로 내릴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2. 다양한 선택을 인정해라.

책에서 고속버스에서의 '배가 아픈' 사례를 통해 우리는 다양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다른 선택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사회적 규범과 타인에 대한 배려로 자신의 '배가 아픈' 욕구를 억제하지만, 이는 신체적 건강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

 

반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인에게 불편을 주는 행동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선의 해결책은 자신의 욕구와 타인의 편안함을 모두 고려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버스 기사님께 부탁해 잠시 정차하는 것으로, 자신의 급한 욕구를 해결하고 다른 승객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성격 이론에 따르면, 우리의 행동은 원초아(기본 욕구), 자아(현실과의 조화를 이루려는 힘), 초자아(사회적 규범과 도덕)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됩니다. 건강한 성격을 갖기 위해서는 자신의 욕구를 알고, 그것을 사회적 규범 안에서 어떻게 충족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거나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방식으로 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우리는 다양한 결정과 선택 앞에서 자신만의 방식을 찾아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자신과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됩니다.